.jpg)
Overpass Forest | 다락옥수 多樂
iF Design Awards, iF Design, German iF 디자인 어워드
Seoul
.jpg)
"Underpass of Light and Forest"
A concealed void becomes a landscape of light and forest, as open paths loosen urban edges and set new movement in motion.
As the Seoul metropolitan city become increasingly dense and the land consumed by privatization, the space for the public realm diminished and become high demand. In this contex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o-Jinman Architects (JJA) conducted a research to find left over spaces within the city for the future public intervention. The outcome was 183 locations underneath the highway overpass spaces which combined size equivalent to 200 football fields. However, the found sites were facing multiple issues, such as segregation from the streetscape, disconnected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security vulnerability. The chosen site was nearby by a subway station with a generous space in front of the station and surrounded by various urban context, while three different overpass bridges were running over the place.
To demonstrate maximum permeability of the site; the project is designed with four different faces with each corresponds to the different context. The East responds to the residential towers and the temple by vegetation slope that leaning away from, while the West responds to the commercial district with an architectural box that accommodate flexible indoor programs. The South faces the subway gateway with a main entrance of the project; whilst the North opens to the public square with a theater seats. Multi-functional book lounge for the neighborhood is main interior program.
Also, we have incorporated 5,000 mirror plates acting as a ‘roof’ supported by wild wooden pillars, project various views of the greenery onto the streetscapes while, captures sunlight and reflects it down into the area of vegetation overshadowed by the overpass bridges
"Underpass of Light and Forest"
A concealed void becomes a landscape of light and forest, as open paths loosen urban edges and set new movement in motion.
As the Seoul metropolitan city become increasingly dense and the land consumed by privatization, the space for the public realm diminished and become high demand. In this contex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o-Jinman Architects (JJA) conducted a research to find left over spaces within the city for the future public intervention. The outcome was 183 locations underneath the highway overpass spaces which combined size equivalent to 200 football fields. However, the found sites were facing multiple issues, such as segregation from the streetscape, disconnected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security vulnerability. The chosen site was nearby by a subway station with a generous space in front of the station and surrounded by various urban context, while three different overpass bridges were running over the place.
To demonstrate maximum permeability of the site; the project is designed with four different faces with each corresponds to the different context. The East responds to the residential towers and the temple by vegetation slope that leaning away from, while the West responds to the commercial district with an architectural box that accommodate flexible indoor programs. The South faces the subway gateway with a main entrance of the project; whilst the North opens to the public square with a theater seats. Multi-functional book lounge for the neighborhood is main interior program.
Also, we have incorporated 5,000 mirror plates acting as a ‘roof’ supported by wild wooden pillars, project various views of the greenery onto the streetscapes while, captures sunlight and reflects it down into the area of vegetation overshadowed by the overpass bridges
small.jpg)
"빛과 숲이 흐르는 고가하부"
숨겨져 있던 공간이 숲과 빛으로 채워지고, 사방으로 열린 길이
도시의 경계를 풀어 새로운 흐름을 만든다.
프로젝트는 나날이 고밀도화 되어 가고 공공에서 활용가능한 가용부지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이제까지 눈여겨 보지 않던 여러 형식의 불가용지나 저활용지에 주목하게 되면서 대두 되었다. 현시점 시에 존재하는 183개소의 고가 도로 및 철도는 지난 눈부신 한국경제 성장과 도시 개발의 징표였으나, 약 10% 미만의 공간만이 소극적으로 활용되고 나머지 90%, 축구장 200개에 해당하는 하부 공간의 면적은 미활용 상태로 방치되어 도시미관, 보행 단절, 지역 커뮤니티 단절, 안전취약 등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장기적 계획 수립의 용역을 통해 전체 고가에 대한 전수조사와 제도 조사, 잠재적 가용 부지별로 공간구성, 프로그램 및 운영방식을 포함한 종합 활용방안과 시범사업을 진행하였다.
고가하부는 지도상에 상부 도로만 보이고 하부는 나타나지 않는다. 즉 숨겨진 공간이다. 새로운 계획을 통해 보행레벨에서 고가로 인해 좌우로 단절된 하부의 두 영역을 다시 연결하고, 가변적인 프로그램과 시설들로 채워 항시 주변 커뮤니티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거점이 되며, 선형이라는 공간 특성상 도로를 따라 확장되며 보행권 거리안의 다양한 문화,공공,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와 연계 하고 운영측면에서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이 고가 하부공간 재생의 궁극적 목표이다.
1차 시범사업으로 설정한 옥수역 하부 공간은 주변 주거 유형이 다양하고, 유동인구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좋으며 고가 철도와 도로 세개가 동시에 지나가는 공간적 크기에 있어서 시도 해볼 가치가 있었다. 고가교각으로 인해 넓은 공간은 이등분 되어 있었고 기존에 간헐적으로 열리는 옥외 프로그램 (벼룩시장, 공연 등)을 유지하면서 입체적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기존 소광장의 정주성/폐쇄성을 높이기 위해 위치가 역 출구앞으로 설정되었다.
형태 구성은 단순히 실내 공간을 채우는 방식이 아니라 경관적 접근으로 계획되었다. 고가하부라는 메가 스트럭처에 자연의 메타포를 도입해 풀과 나무가 자라는 생명의 풍경으로 시민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했다. ‘고가하부 숲’을 주제로 조성된 식재 언덕과 거친 목재 기둥, 그리고 가로로 자연을 투영하는 5,000장의 미러 패널은 보행자의 시점에 따라 빛과 숲이 변화하는 공간 경험을 만든다.
small.jpg)
small.jpg)
small.jpg)
.jpg)
.jpg)
.png)
small.jpg)
small.jpg)
small.jpg)

small.jpg)
"빛과 숲이 흐르는 고가하부"
숨겨져 있던 공간이 숲과 빛으로 채워지고, 사방으로 열린 길이
도시의 경계를 풀어 새로운 흐름을 만든다.
프로젝트는 나날이 고밀도화 되어 가고 공공에서 활용가능한 가용부지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이제까지 눈여겨 보지 않던 여러 형식의 불가용지나 저활용지에 주목하게 되면서 대두 되었다. 현시점 시에 존재하는 183개소의 고가 도로 및 철도는 지난 눈부신 한국경제 성장과 도시 개발의 징표였으나, 약 10% 미만의 공간만이 소극적으로 활용되고 나머지 90%, 축구장 200개에 해당하는 하부 공간의 면적은 미활용 상태로 방치되어 도시미관, 보행 단절, 지역 커뮤니티 단절, 안전취약 등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장기적 계획 수립의 용역을 통해 전체 고가에 대한 전수조사와 제도 조사, 잠재적 가용 부지별로 공간구성, 프로그램 및 운영방식을 포함한 종합 활용방안과 시범사업을 진행하였다.
고가하부는 지도상에 상부 도로만 보이고 하부는 나타나지 않는다. 즉 숨겨진 공간이다. 새로운 계획을 통해 보행레벨에서 고가로 인해 좌우로 단절된 하부의 두 영역을 다시 연결하고, 가변적인 프로그램과 시설들로 채워 항시 주변 커뮤니티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거점이 되며, 선형이라는 공간 특성상 도로를 따라 확장되며 보행권 거리안의 다양한 문화,공공,오픈스페이스 네트워크와 연계 하고 운영측면에서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성이 고가 하부공간 재생의 궁극적 목표이다.
1차 시범사업으로 설정한 옥수역 하부 공간은 주변 주거 유형이 다양하고, 유동인구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좋으며 고가 철도와 도로 세개가 동시에 지나가는 공간적 크기에 있어서 시도 해볼 가치가 있었다. 고가교각으로 인해 넓은 공간은 이등분 되어 있었고 기존에 간헐적으로 열리는 옥외 프로그램 (벼룩시장, 공연 등)을 유지하면서 입체적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기존 소광장의 정주성/폐쇄성을 높이기 위해 위치가 역 출구앞으로 설정되었다.
형태 구성은 단순히 실내 공간을 채우는 방식이 아니라 경관적 접근으로 계획되었다. 고가하부라는 메가 스트럭처에 자연의 메타포를 도입해 풀과 나무가 자라는 생명의 풍경으로 시민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했다. ‘고가하부 숲’을 주제로 조성된 식재 언덕과 거친 목재 기둥, 그리고 가로로 자연을 투영하는 5,000장의 미러 패널은 보행자의 시점에 따라 빛과 숲이 변화하는 공간 경험을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