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nmaru Playground | 창신동 산마루 놀이터
Seoul
2019 Korea National Land Awards, Presidential Award 2019년 대한민국 국토대전 대통령상
2019 Korea National Land Awards, Presidential Award
2019년 대한민국 국토대전 대통령상

"A playground where nature is reassembled for children"
It becomes a place where children engage in spontaneous play and
community relationships are restored within a landscape of reclaimed earth.
On the rooftop ridge of Changsin-dong, where one can meet Seoul’s clear breeze and wide sky, lies a site with one of the best views of the city center. Yet, due to its steep roads and dense residential fabric, it has remained a place rarely visited by outsiders, mostly limited to local residents. Once designated as part of a redevelopment “New Town” district, the area has since been released from that plan and is now used as a small children’s park, community garden, and parking lot. In 2015,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lected this area as the Changsin-Sungin Urban Regeneration Pilot District. As part of the regeneration project, the design competition sought to create an “eco-friendly, nature-based children’s playground” where children could play freely and safely.
Sanmaru Playground maximizes the use of the natural terrain and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 of the surrounding community. The project restores the cut slopes and vanished ridges by replacing them with earth, extending the continuity of the landscape, and opening generous grounds for play. Traditional playgrounds tend to objectify children; here, the playground is reimagined as a place of creation and social life—where children grow emotionally through contact with nature and invent their own play, not through equipment but through earth itself.


"자연을 다시 쌓아 올린 아이들의 자유로운 놀이터"
지형을 복원한 흙의 풍경 속에서 아이들의 자발적 놀이와
공동체의 관계가 회복되는 장소가 된다.
서울의 맑은 바람과 높은 하늘을 만날 수 있는 서울의 옥상 창신동. 이곳은 서울도심을 조망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에 위치하여 있지만 가파른 도로와 밀집된 주택가로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 이외엔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곳이기도 하다. 한때는 재개발로 인한 뉴타운 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하였지만 지금은 해제되어 현재 소규모 어린이공원 및 도시텃밭,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부지이다. 서울시는 2015년 이곳을 창신숭인 도시재생선도 지역으로 지정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아이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자연형 어린이놀이터'를 만드는 것이 설계 공모의 목적이었다.
산마루 놀이터는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하고 주변 여건을 살린 지역사회의 특색 있는 공간이다. 깎이어 사라진 언덕과 산세를 다시 흙으로 치환하여 풍경을 연속시키고 주변으로 마음껏 놀 수 있는 터를 만들었다. 기존의 놀이터는 어린이를 대상화 시킨다. 여기서 놀이터는 자연과의 접촉을 통해 감성을 키우고 다양한 놀이를 유발하는 창작 터이자 사회 생활 터로 생각하였다.놀이 기구가 아닌 흙을 소재로 아이들이 서로 어울리며 자발적인 놀이를 만들어가는 방식을 생각하였다. 중심부의 풀무 골무 공간은 내부에 거대한 정글짐과 전망 오름길이 있으며 하부에는 다양한 문화학습을 지원하는 도서관이 위치한다. 솟아난 풀무 골무와는 대조적으로 파여진 소극장은 주민들의 다양한 문화마당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