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NVX
Seoul
.jpg)
"Urban Dwelling Structured by Two Interlocking Volumes"
Street, court, light, and depth overlap to form an open living landscape.
Located two blocks inside the intersection of Bongeunsa-ro and Eonju-ro, the site sits along a typical residential street densely filled with 4–5 story multi-family villas. The client, who had lived in a two-story brick house built in the 1970s, wished to rebuild the property to live with his son’s family while retaining a small neighborhood commercial facility on the ground level.
Nonhyeon-dong 15 NXV begins with three urban questions:
-
How can we open a street landscape closed by continuous piloti parking?
-
How can we introduce a new urban frontage among monotonous residential facades?
-
How can we explore a new type of urban housing that spatially integrates residence and commerce?
The organization of massing follows the logic of orientation and street engagement. The commercial volume, intended to vitalize the dark street dominated by piloti structures, occupies the front with maximum openness. Above it, housing for three generations is arranged to secure optimal sunlight, forming a different footprint from the base and creating a sculpted sectional composition. Instead of a piloti, an open courtyard facing the street becomes a front yard, and the setback of the lower mass creates a large cantilevered entry beneath the upper residential volume. The shifted arrangement of two cubic forms generates balconies and rooftop terraces—essential outdoor living spaces for urban housing.
Materiality expresses the spatial hierarchy of the program. The ground level is built with thick layers of stone, evoking the solidity of bedrock while framing controlled openings for light. In contrast, the upper residence is a light and transparent glass volume filled with natural light, with projecting fins casting layered reflections that brighten the asphalt street.
Architecture, at its best, proposes creative alternatives to standardized ways of living and conventional spatial relationships. By uncovering the latent specificity of its site and resisting typified residential forms, this project seeks to become an active and engaging backdrop to urban life—both familiar and new.
"Urban Dwelling Structured by Two Interlocking Volumes"
Street, court, light, and depth overlap to form an open living landscape.
Located two blocks inside the intersection of Bongeunsa-ro and Eonju-ro, the site sits along a typical residential street densely filled with 4–5 story multi-family villas. The client, who had lived in a two-story brick house built in the 1970s, wished to rebuild the property to live with his son’s family while retaining a small neighborhood commercial facility on the ground level.
Nonhyeon-dong 15 NXV begins with three urban questions:
-
How can we open a street landscape closed by continuous piloti parking?
-
How can we introduce a new urban frontage among monotonous residential facades?
-
How can we explore a new type of urban housing that spatially integrates residence and commerce?
The organization of massing follows the logic of orientation and street engagement. The commercial volume, intended to vitalize the dark street dominated by piloti structures, occupies the front with maximum openness. Above it, housing for three generations is arranged to secure optimal sunlight, forming a different footprint from the base and creating a sculpted sectional composition. Instead of a piloti, an open courtyard facing the street becomes a front yard, and the setback of the lower mass creates a large cantilevered entry beneath the upper residential volume. The shifted arrangement of two cubic forms generates balconies and rooftop terraces—essential outdoor living spaces for urban housing.
Materiality expresses the spatial hierarchy of the program. The ground level is built with thick layers of stone, evoking the solidity of bedrock while framing controlled openings for light. In contrast, the upper residence is a light and transparent glass volume filled with natural light, with projecting fins casting layered reflections that brighten the asphalt street.
Architecture, at its best, proposes creative alternatives to standardized ways of living and conventional spatial relationships. By uncovering the latent specificity of its site and resisting typified residential forms, this project seeks to become an active and engaging backdrop to urban life—both familiar and new.
.jpg)
"두 개의 볼륨으로 구축한 입체적 도시 주거"
가로와 마당, 빛과 깊이가 겹쳐지며 열린 생활 풍경을 이룬다
프로젝트는 봉은사로와 언주로 교차점에서 두 블록 안쪽, 4~5층 규모의 다세대 빌라들이 밀집한 가로에 위치한다. 1970년대 지어진 이층 벽돌집에 거주하던 건축주는 새 건축을 통해 아들 가족과 함께 거주하면서 1층 일부에 근린생활시설을 두고 기존 생활 기반을 유지하고자 했다.
논현동 15번지 NXV는 세 가지 도시적 질문에서 출발했다.
1. 연속된 필로티 주차장으로 단절된 가로에 열린 도시
공간을 만들 수 있는가
2. 단조로운 주거지 입면 속에서 새로운 거리 풍경을
제안할 수 있는가
3. 주거와 근린시설이라는 상이한 프로그램을 어떻게
입체적으로 구성할 것인가
배치와 형태는 가로 조직과 일조 조건의 논리에서 출발한다. 가로 활성화를 위한 근생 시설은 최대한 가로와 면하도록 배치했고, 상부 3세대 주거는 최적의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와 다른 풋프린트로 분리된 입체적 구성을 갖는다. 필로티 대신 가로에 열린 전면 마당을 두어 거리를 숨 쉬게 하고, 하부 볼륨을 후퇴시켜 상부 주거 매스가 형성하는 큰 캔틸레버가 건축의 진입 이미지를 만든다. 어긋난 두 매스는 4층 발코니와 6층 옥상 테라스를 자연스럽게 확보하며 도시 주거에 필요한 외부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재료는 프로그램의 위계를 물성으로 드러낸다. 하부는 암반 지반을 연상시키는 두꺼운 석재를 수평 켜로 쌓아 안정감 있는 기단을 만들었고, 깊게 파인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빛을 끌어들인다. 상부는 투명한 유리 박스로 구성해 내부를 빛으로 채우고, 돌출된 수직 핀(fin)의 반사와 그림자를 통해 입면에 리듬과 깊이를 부여해 거리에 밝은 표정을 만든다.
좋은 건축은 보편적으로 반복되는 삶의 방식이나 관습적 공간 구성에 머무르지 않고, 장소가 지닌 맥락 속에서 새로운 관계와 유형을 탐색해야 한다. 익숙한 형태를 단순히 반복하지 않고 낯설지만 의미 있는 공간을 제시할 때, 건축은 도시 속에서 활력을 생산하며 일상을 풍요롭게 만드는 배경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는 봉은사로와 언주로 교차점에서 두 블록 안쪽, 4~5층 규모의 다세대 빌라들이 밀집한 가로에 위치한다. 1970년대 지어진 이층 벽돌집에 거주하던 건축주는 새 건축을 통해 아들 가족과 함께 거주하면서 1층 일부에 근린생활시설을 두고 기존 생활 기반을 유지하고자 했다.
논현동 15번지 NXV는 세 가지 도시적 질문에서 출발했다.
1. 연속된 필로티 주차장으로 단절된 가로에 열린 도시 공간을 만들 수 있는가
2. 단조로운 주거지 입면 속에서 새로운 거리 풍경을 제안할 수 있는가
3. 주거와 근린시설이라는 상이한 프로그램을 어떻게 입체적으로 구성할 것인가
배치와 형태는 가로 조직과 일조 조건의 논리에서 출발한다. 가로 활성화를 위한 근생 시설은 최대한 가로와 면하도록 배치했고, 상부 3세대 주거는 최적의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와 다른 풋프린트로 분리된 입체적 구성을 갖는다. 필로티 대신 가로에 열린 전면 마당을 두어 거리를 숨 쉬게 하고, 하부 볼륨을 후퇴시켜 상부 주거 매스가 형성하는 큰 캔틸레버가 건축의 진입 이미지를 만든다. 어긋난 두 매스는 4층 발코니와 6층 옥상 테라스를 자연스럽게 확보하며 도시 주거에 필요한 외부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재료는 프로그램의 위계를 물성으로 드러낸다. 하부는 암반 지반을 연상시키는 두꺼운 석재를 수평 켜로 쌓아 안정감 있는 기단을 만들었고, 깊게 파인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빛을 끌어들인다. 상부는 투명한 유리 박스로 구성해 내부를 빛으로 채우고, 돌출된 수직 핀(fin)의 반사와 그림자를 통해 입면에 리듬과 깊이를 부여해 거리에 밝은 표정을 만든다.
좋은 건축은 보편적으로 반복되는 삶의 방식이나 관습적 공간 구성에 머무르지 않고, 장소가 지닌 맥락 속에서 새로운 관계와 유형을 탐색해야 한다. 익숙한 형태를 단순히 반복하지 않고 낯설지만 의미 있는 공간을 제시할 때, 건축은 도시 속에서 활력을 생산하며 일상을 풍요롭게 만드는 배경이 될 수 있다.
.jpg)
.jpg)
.jpg)
.jpg)
.jpg)
"두 개의 볼륨으로 구축한 입체적 도시 주거"
가로와 마당, 빛과 깊이가 겹쳐지며 열린 생활 풍경을 이룬다
프로젝트는 봉은사로와 언주로 교차점에서 두 블록 안쪽, 4~5층 규모의 다세대 빌라들이 밀집한 가로에 위치한다. 1970년대 지어진 이층 벽돌집에 거주하던 건축주는 새 건축을 통해 아들 가족과 함께 거주하면서 1층 일부에 근린생활시설을 두고 기존 생활 기반을 유지하고자 했다.
논현동 15번지 NXV는 세 가지 도시적 질문에서 출발했다.
1. 연속된 필로티 주차장으로 단절된 가로에 열린 도시
공간을 만들 수 있는가
2. 단조로운 주거지 입면 속에서 새로운 거리 풍경을
제안할 수 있는가
3. 주거와 근린시설이라는 상이한 프로그램을 어떻게
입체적으로 구성할 것인가
배치와 형태는 가로 조직과 일조 조건의 논리에서 출발한다. 가로 활성화를 위한 근생 시설은 최대한 가로와 면하도록 배치했고, 상부 3세대 주거는 최적의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와 다른 풋프린트로 분리된 입체적 구성을 갖는다. 필로티 대신 가로에 열린 전면 마당을 두어 거리를 숨 쉬게 하고, 하부 볼륨을 후퇴시켜 상부 주거 매스가 형성하는 큰 캔틸레버가 건축의 진입 이미지를 만든다. 어긋난 두 매스는 4층 발코니와 6층 옥상 테라스를 자연스럽게 확보하며 도시 주거에 필요한 외부 생활 공간을 제공한다.
재료는 프로그램의 위계를 물성으로 드러낸다. 하부는 암반 지반을 연상시키는 두꺼운 석재를 수평 켜로 쌓아 안정감 있는 기단을 만들었고, 깊게 파인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빛을 끌어들인다. 상부는 투명한 유리 박스로 구성해 내부를 빛으로 채우고, 돌출된 수직 핀(fin)의 반사와 그림자를 통해 입면에 리듬과 깊이를 부여해 거리에 밝은 표정을 만든다.
좋은 건축은 보편적으로 반복되는 삶의 방식이나 관습적 공간 구성에 머무르지 않고, 장소가 지닌 맥락 속에서 새로운 관계와 유형을 탐색해야 한다. 익숙한 형태를 단순히 반복하지 않고 낯설지만 의미 있는 공간을 제시할 때, 건축은 도시 속에서 활력을 생산하며 일상을 풍요롭게 만드는 배경이 될 수 있다.
.jpg)
.jpg)
.jpg)
.jpg)
.jpg)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