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The 'Path of Containing Contemplation' | 생각을 담는 길
Daegu
The 'Path of Containing Contemplation'
Daegu
생각을 담는 길

"A Walk Through Quiet Layers"
Walking through a landscape layered with trees, water, and sky,
one’s steps slow and thoughts come to rest.
A good city needs paths that invite walking—places to move at a human pace. The Path that Holds Thought offers such an experience, allowing quiet movement with moments of rest and contemplation. Along Suseong-gu’s Manbo Trail, layered scenes of water, trees, and sky unfold over Naegwanji. The new entry path naturally becomes a small community node. Extending over the water, the Dotap Bridge continues the tactile quality of the wooden trail. Shaped three-dimensionally rather than as a simple linear walkway, it creates places to sit, pause, and take in the view while softening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movement.
Walking paths are meaningful when they invite lingering. When we stop, we begin to sense time—in shifting light, in water, in wind. The former intake tower, once a closed utility structure, has lost its function over time. Retaining only its frame, it is reborn as an open pavilion—transformed from a tower that collected water into a place that gathers thought. Historically, pavilions stood where mountains and rivers meet—spaces for reflection and rest. This fusion of adaptive reuse and public openness gives new cultural meaning to an industrial relic. The ceiling shimmers with reflections from the water, and the floor leads the mind into quiet depth. At dusk, soft light fills the pavilion, completing The Path that Holds Thought as a serene place to walk, pause, and meet at Naegwanji.

"A Walk Through Quiet Layers"
Walking through a landscape layered with trees, water, and sky,
one’s steps slow and thoughts come to rest.
A good city needs paths that invite walking—places to move at a human pace. The Path that Holds Thought offers such an experience, allowing quiet movement with moments of rest and contemplation. Along Suseong-gu’s Manbo Trail, layered scenes of water, trees, and sky unfold over Naegwanji. The new entry path naturally becomes a small community node. Extending over the water, the Dotap Bridge continues the tactile quality of the wooden trail. Shaped three-dimensionally rather than as a simple linear walkway, it creates places to sit, pause, and take in the view while softening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movement.
Walking paths are meaningful when they invite lingering. When we stop, we begin to sense time—in shifting light, in water, in wind. The former intake tower, once a closed utility structure, has lost its function over time. Retaining only its frame, it is reborn as an open pavilion—transformed from a tower that collected water into a place that gathers thought. Historically, pavilions stood where mountains and rivers meet—spaces for reflection and rest. This fusion of adaptive reuse and public openness gives new cultural meaning to an industrial relic. The ceiling shimmers with reflections from the water, and the floor leads the mind into quiet depth. At dusk, soft light fills the pavilion, completing The Path that Holds Thought as a serene place to walk, pause, and meet at Naegwanji.


"풍경을 열어주는 사색의 길"
나무와 물, 하늘이 겹쳐진 풍 경 속을 따라 걷다 보면,
발걸음이 이어지고 생각이 머무는 하나의 장면이 된다.
좋은 도시에는 걷고 싶은 길이 필요합니다. '생각을 담는 길'은 우리가 편히 걸으며 휴식과 사색을 위한 길입니다. 수성구 만보 산책로의 나무길을 따라 오르면 내관지의 水景, 樹景, 天景이 눈앞에 펼쳐집니다. 새롭게 형성된 진입로는 이웃을 만나는 쉼터가 되기도 합니다. 수면위를 걷는 도탑교는 주변 나뭇길의 촉감을 이으며 확장시킵니다. 단순한 보행에서 새로이 입체적으로 구성된 도탑교의 길은 도중에 앉아 쉬거나 전망을 담으며 자연과 만나는 경계를 최소화 합니다. 걷기 좋은 길에는 머물고 쉬고 바라보는 장소가 필요합니다. 잠시 멈추어 서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연을 마주합니다. 취수탑은 오랜 시간 닫혀진 채 그 기능을 활발히 수행하지 않습니다. 취수탑은 물을 모으는 곳입니다.
구조체의 기본 골격만 남기고 360도 풍경으로 개방하여 ‘물을 모으는 취수塔’에서 ‘생각을 모으는 취수亭’으로 거듭납니다. 예로부터 우리는 산 좋고 물 좋은 곳에 정자를 두었습니다. 그것은 사유와 성찰 그리고 휴식과 만남의 공간이었습니다. 과거 접근이 통제된 시설의 개방과 용도의 공존은 사회적 흥미와 관심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생각을 모으는 취수정의 천장에는 수면의 눈부신 윤슬이 가득합니다. 그리고 바닥을 보면 생각의 심연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자연을 만나고, 자아를 발견하고,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해가 저물기 시작하면 시설은 은은히 시적인 빛을 발합니다. 생각을 담는 길은 머물며 마주하고 쉬는 장소를 품은 내관지에서 완성됩니다.


.jpg)

"풍경을 열어주는 사색의 길"
나무와 물, 하늘이 겹쳐진 풍경 속을 따라 걷다 보면,
발걸음이 이어지고 생각이 머무는 하나의 장면이 된다.
좋은 도시에는 걷고 싶은 길이 필요합니다. '생각을 담는 길'은 우리가 편히 걸으며 휴식과 사색을 위한 길입니다. 수성구 만보 산책로의 나무길을 따라 오르면 내관지의 水景, 樹景, 天景이 눈앞에 펼쳐집니다. 새롭게 형성된 진입로는 이웃을 만나는 쉼터가 되기도 합니다. 수면위를 걷는 도탑교는 주변 나뭇길의 촉감을 이으며 확장시킵니다. 단순한 보행에서 새로이 입체적으로 구성된 도탑교의 길은 도중에 앉아 쉬거나 전망을 담으며 자연과 만나는 경계를 최소화 합니다. 걷기 좋은 길에는 머물고 쉬고 바라보는 장소가 필요합니다. 잠시 멈추어 서면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연을 마주합니다. 취수탑은 오랜 시간 닫혀진 채 그 기능을 활발히 수행하지 않습니다. 취수탑은 물을 모으는 곳입니다.
구조체의 기본 골격만 남기고 360도 풍경으로 개방하여 ‘물을 모으는 취수塔’에서 ‘생각을 모으는 취수亭’으로 거듭납니다. 예로부터 우리는 산 좋고 물 좋은 곳에 정자를 두었습니다. 그것은 사유와 성찰 그리고 휴식과 만남의 공간이었습니다. 과거 접근이 통제된 시설의 개방과 용도의 공존은 사회적 흥미와 관심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생각을 모으는 취수정의 천장에는 수면의 눈부신 윤슬이 가득합니다. 그리고 바닥을 보면 생각의 심연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곳에서 자연을 만나고, 자아를 발견하고,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해가 저물기 시작하면 시설은 은은히 시적인 빛을 발합니다. 생각을 담는 길은 머물며 마주하고 쉬는 장소를 품은 내관지에서 완성됩니다.





